백기영<논설위원/유원대 교수>

▲ 백기영<논설위원/유원대 교수>

농어촌마을권역중 청소년이 농어촌 현장 체험활동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도록 지정된 것이 농어촌인성학교이다. 농식품부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2013년 최초로 44개소의 인성학교가 선정된 이후 2017년까지 5차에 걸쳐 전국적으로 119개 마을권역이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
인성학교는 자연과 동화하고 스스로 자연을 통해 생명의 존중하는 올바른 자세를 키우며, 농경활동과 공동체의 경험을 통해 서로 돕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인성학교 지정 요건은 일정수준 이상의 교육, 숙박시설을 보유해야 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인성교육 및 체험 지도인력을 보유해야 하며, 안전과 위생관리, 농어촌 체험 추진실적, 교육과 홍보마케팅 능력 등이 선정기준이다.
얼마 전 3주에 걸쳐 인성학교에 대한 종합적 운영평가가 있었다. 2013년과 2014년에 지정된 68개소의 인성학교에 대한 점검과 진단이 시행되었다. 농어촌 인성학교의 운영 현황을 진단해 보고 운영 내실화를 도모하여 인정교육과 체험프로그램의 적정하게 제공하도록 유도하며, 마을과 권역의 시설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취지였다. 인성교육 프로그램 보유현황과 운영 매뉴얼 구비정도, 적합한 교재와 교구 확보 수준이 점검되었으며, 강사진의 운영능력과 역량강화 수준, 인성학교 활성화를 위한 활동실적과 연계협력 및 홍보활동이 평가되었다.
대체적으로 많은 권역은 농업농촌, 창의공예, 생태환경, 먹거리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었다. 학교수업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좋은 호응을 얻은 권역도 있으며, 그 권역 특유의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좋은 평가를 받는 사례도 있었다. 지자체가 연계 활성화 프로그램에 적극 나서기도 하고, 권역에서 홍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반면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미흡한 권역도 있었으며, 인성교육 자체 프로그램은 아주 미흡한 편이었고, 체험프로그램에 인성교육을 가미하여 통합 운영하는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일부 농어촌인성학교에서는 전문 인력과 운영주체의 역량부족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부족, 홍보 활동 미흡 등으로 운영이 부진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농어촌인성학교로 지정되어도 별도의 재정지원이 없기 때문이라는 현장의 목소리도 높다. 또한 농식품부, 교육부, 행안부 등 농촌마을 사업을 부처별로 별도로 지정하여 관리하는데 따른 중복의 문제도 있다. 농촌휴양체험마을이나 정보화마을은 우수하게 운영하고 있으나, 인성프로그램 운영체계는 미흡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일부 권역의 경우 사무장 등 전임자를 구하기 어렵다는 호소도 있어 사업담당자의 다양한 역량강화 방안이 제공될 필요도 있다.
농식품부는 지속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 추가 보급, 교육프로그램 기획·운영 및 홍보·마케팅을 위한 인적 역량강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가야 한다. 교육부도 적극적으로 인성학교 프로그램과 각 급 학교나 교육청과의 연계사업을 마련해고,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과 농어촌 체험형 수련활동 활성화와 연계될 수 있도록 강구해야 한다. 지자체는 지역역량강화의 일환으로 권역사업 등 사후완료지구 컨설팅이나 지역역량강화사업으로 인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 교재 제작 지원에 함께 나서야 한다. 민간 전문교육기관과의 공동운영이나 협업체계를 강구하는 것도 시도해 봄직 하다.
정부가 금년부터 인성학교별 운영 평가를 통해 성과가 부진한 곳에 대해서는 컨설팅, 운영자 교육 등을 지원하고, 미흡한 인성학교에 대해서는 지정을 취소하는 등 내실화를 기해 나가기로 한 점은 다소 늦었지만 적절한 조치로 생각된다. 향후 지속적으로 인성학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일부 평가항목의 현실적 수정보완과 함께 지자체나 교육청과의 연계 활동 촉진책, 민간전문가 활용강화 등 제도 개선도 요구된다.
농어촌인성학교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 공동체 문화를 높여가는 것은 그간의 농촌사업을 통해 조성한 시설과 인력을 한 차원 높게 발전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